ㄱ(r7 Blame)
r7 | ||
---|---|---|
r1 (새 문서) | 1 | [[분류:한글]] |
r5 | 2 | == 한글 자모,자음의 일종 == |
3 | ||<-3><bgcolor=#ccc,#484b53><tablebgcolor=#fff,#2d2f34><tablealign=right> '''{{{+3 ㄱ}}}''' || | |
4 | ||<-2><colbgcolor=#ddd,#383b40> 이름 || 기역(기윽) || | |
5 | ||<-2> 분류 || 자음(예사소리) || | |
6 | ||<|8> 음성 ||<colbgcolor=#e7e7e7,#32343a> 어두 || [[연구개음#연구개 파열음|k]](ɡ̊)[* '''가'''지][br][[이중조음 자음#kw|kʷ]](ɡ̊ʷ)[* 순음화. '''과'''일][br]kʲ~[[경구개음#파열|c]](ɡ̊ʲ~ɟ̊)[* 구개음화. '''기'''차] || | |
7 | || 모음 및 공명음 사이 || [[연구개음#연구개 파열음|ɡ]][* 조'''개'''][br][[이중조음 자음#gw|ɡʷ]][* 순음화. 사'''과'''][br]ɡʲ~ɟ[* 구개음화. 남'''기'''다, 감'''기'''] || | |
8 | || 종성 || k̚[* 음'''악'''] || | |
9 | || 종성+모음[* 형식 형태소의 일부일 때와 실질 형태소의 일부일 때 포함] 앞 || [[연구개음#연구개 파열음|ɡ]][* 수'''학'''은[수하'''근'''\] 쉽다.][br][[이중조음 자음#gw|ɡʷ]][* 순음화. '''국'''왕[구'''광'''\]][br]ɡʲ~ɟ[* 구개음화. 한'''국'''인] || | |
10 | || 비음, 유음 앞 || [[연구개음#연구개 비음|ŋ]][* '''국'''물['''궁'''물\], '''극'''락['''긍'''낙\]] || | |
11 | || 경음화 [br] {{{-2 (된소리되기)}}} || k͈[* 숟'''가'''락][br]k͈ʲ~c͈[* 구개음화. 국'''경'''][br]k͈ʷ[* 순음화. 약'''과'''] || | |
12 | || 격음화 [br] {{{-2 (거센소리되기)}}} || [[연구개음#유기 연구개 파열음|kʰ]][* '''박'''해[바'''캐'''\]][br]kʰʲ~c͡ç[* 구개음화. '''특'''히][br][[이중조음 자음#khw|kʰʷ]][* 순음화. '''국'''화[구'''콰'''\]] || | |
13 | ||
r1 (새 문서) | 14 | [목차] |
r5 | 15 | [clearfix] |
r1 (새 문서) | 16 | == 소개 == |
17 | 자음의 첫 글자이다. | |
18 | ||
r4 | 19 | 'G'발음이 나며, 한글의 5가지 기본자[* ㄱ,ㄴ,ㅁ,ㅅ,ㅇ] 중 하나이다. |
r1 (새 문서) | 20 | |
21 | 또한, 여러 과목에서 기호로 많이 쓰인다. | |
r5 | 22 | |
23 | == 자음 ㄱ과 관련된 최근 연구결과 == | |
24 | 21세기 들어 40대 이하의 [[서울]] 사람들은 더 이상 어두의 /ㄱ/과 /ㅋ/의 소리를 기식성으로 구별하지 않는다는 [[https://www.yoonjungkang.com/uploads/1/1/6/2/11625099/14kang_han_2013_lingua.pdf|연구 결과]]가 있다. 이는 ㄱ, ㅋ 뿐 아니라 다른 예사소리-거센소리 대립에서 모두 똑같이 일어난다. [[https://youtu.be/D1XsccLIHm0?si=9XpC52lXpP_Glo69|실험영상]] | |
25 | ||
26 | 과거에는 어두의 /ㄱ/은 [k]로, 어두의 /ㅋ/는 [kʰ]로 실현되었지만, 40대 이하의 수도권 지역의 사람들은 어두의 ㄱ와 ㅋ을 모두 [kʰ]로 기식을 넣어 발음한다. | |
27 | ||
28 | 대신 높이의 차이로 /ㄱ/과 /ㅋ/을 구별하는데, 낮게 소리내면 /ㄱ/이고, 높게 내면 /ㅋ/이다. 일종의 [[성조]]가 생겨나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. | |
29 | ||
30 | 경상도 지역은 이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으나, 2010년대 들어서 20대 이하의 여성은 /ㄱ/과 /ㅋ/의 기식성의 차이가 거의 사라졌다. 반면에 20대 이하의 남성에게서는 아직 /ㄱ/과 /ㅋ/이 다르게 발음된다. | |
31 | ||
32 | == 제자 원리 == | |
33 | [[연구개음#파열|혀뿌리가 목구멍을 막는]] 모양을 본떴다. | |
34 | ||
35 | == 축약어로서 사용되는 ㄱ == | |
36 | ||예시) | |
37 | A: 모두 준비되었나요? [* 사실 이쪽도 ㄹㄷ(레디)라고 하는 경우가 더 많다.] | |
38 | B: ㄱㄱ | |
39 | C: ㄱㄱ|| | |
40 | ||예시 2) | |
41 | A: 영화보러 갈래?[* 영화 ㄱ? 라고 응용할 수 있다.] | |
42 | B: ㄱㄱ | |
43 | C: ㄱㄱ|| | |
44 | ||예시 3) | |
45 | A: 게임 시작할까요?[* 게임상에서 파생된 언어기에, 물을때 'ㄱ?'라고 하기도 한다.] | |
46 | B: ㄱㄱ | |
47 | C: ㄱㄱ|| | |
48 | ||
49 | 온라인 게임상에서 자주 쓰이는 ''' '고([[go(영어)|Go]])' '''의 준말로, 준비가 되었으니 시작하라는 알림 혹은 재촉의 의미로 사용된다. 일반적으로 2개를 붙여서 'ㄱㄱ'(발음할 때는 기기 혹은 고고)의 형태로 자주 사용된다. 재촉의 의미로 볼 때에는 ㄱ의 개수에 따라 그 시급성이 비례한다.[* 하지만 진짜 급할 때는 'ㄱ'보단 다른 말로 강조할 때가 많다. 예) '빨리'] | |
50 | ||
51 | == 여담 == | |
52 | *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에서 획 하나를 더하면 ㅋ이 된다. | |
53 | ||
54 | * 북한에서는 다른 자음들과 마찬가지로 '자음 +ㅣㅡ + 자음' 규칙을 살려 '''기윽'''으로 읽는다. | |
55 | ||
56 | * 된소리로는 ㄲ이 있으며 이걸 쌍기역이라고 부른다. 목젖으로 콧길을 막고 혀뿌리로 연구개를 막았다가 터뜨려 내는 연구개 파열음이며 북한에서는 된기윽으로 부른다. 조선어 신철자법 제정 당시에는 '끼윾'으로 불렀다. | |
57 | ||
58 | * 낫 놓고 기역 자도 모른다는 속담이 있으며 비슷한 말은 목불식정(目不識丁). | |
59 | ||
60 | * 서태지 솔로 2집에 'ㄱ나니?'라는 제목의 곡이 실려 있다. | |
61 | ||
62 | * 세븐 갤러리에서는 숫자 7을 못 뽑아내면 이 글자를 7로 치환해서 턴다. [[세븐 갤러리/털린 이유]] 문서에서 풀어쓰기로 된 부분을 자세히 보자. | |
63 | ||
64 | * 한글 자모의 첫 번째라 카카오톡 등의 메신저에서 이름 앞에 ㄱ을 넣으면 맨 첫 번째로 나온다.[* 예시) "홍길동" → "ㄱ홍길동"] 물론 한글 자모 기준이고 아스키 코드 및 유니코드 기준으로 가장 앞쪽에 위치한 글자는 느낌표(!, U+0021)다. 참고로 ㄱ은 U+1100(조합형)/U+3131(단독 문자). | |
65 | ||
66 | * 오른쪽에 붙는 모음과 같이 쓰일 때는 세로획의 끝이 왼쪽으로 휘게 디자인된 폰트가 많다('가' vs. '그') . 한글 창제 초창기의 판본체에는 이러한 특징이 없다. 아무래도 왼쪽 아래가 비어 있으면 균형이 안 맞아 보여서 그렇게 변화한 듯하다. ㄱ 단독이나 '그' 등도 '가'만큼은 아니지만 약간 왼쪽으로 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. ㄴ과는 차이가 나는 부분. | |
67 | ||
68 | * 카카오톡 같은 메신저에서 가나다순으로 정렬되는 특성상 종종 자신의 이름 앞에 ㄱ을 붙여 위로 올리는 경우도 있다. 실제로 버블 같은 아이돌 소통 어플에서 연예인들 역시 목록 위쪽으로 가려고 쓰는 경우가 있다. | |
69 | ||
70 | ||
r6 | 71 | |
72 | ||
r5 | 73 | |
74 | * 이 문서는 나무위키 [[https://namu.wiki/w/ㄱ|ㄱ]] 문서의 r416에서 가져왔습니다.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