r12 vs r13
......
1010 * 차단은 사용자를 aclgroup:차단에 등록하는 것을 의미한다.
1111
1212== 임시 조항 ==
13 * 관리자관리자의 재량에 따라 일반 사용자를 차단할 수 있다.
13 * 운영진운영진의 재량에 따라 일반 사용자를 차단할 수 있다.
1414 * 단, 규정이 정해져 있을 경우, 해당 규정을 우선한다.
15 * 이 때, 관리자는 차단 사유에 정당한 사유[* 운영 방해, 편집권 남용, 관련 게시판 링크 등]를 제시해야 한다.
15 * 이 때, 운영진는 차단 사유에 정당한 사유[* 운영 방해, 편집권 남용, 관련 게시판 링크 등]를 제시해야 한다.
1616
1717== 개인 정보 ==
1818 * 본인 또는 타인의 개인 정보를 유출하는 경우, 1년 이하로 차단할 수 있다.
......
2424 * 이미 본인이 개인 정보를 외부/내부에서 공개한 경우
2525
2626== 긴급 차단 ==
27 * 관리자는 대규모 반달, 관리자의 권한 남용 등이 일어났을 시, 해당 사용자를 영구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.
27 * 운영진는 대규모 반달, 운영진의 권한 남용 등이 일어났을 시, 해당 사용자를 영구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.
2828 * 긴급 차단 후, 해당 사용자의 재제 수위는 관련 규정 또는 운영 회의를 통해 결정한다.
29 * 긴급 차단 후, 관리자는 운영 회의를 통해 긴급 차단 사실을 타 관리자 및 소유자에게 알리고, 소유자에게 허가를 받아야 한다.
29 * 긴급 차단 후, 운영진는 운영 회의를 통해 긴급 차단 사실을 타 운영진 및 소유자에게 알리고, 소유자에게 허가를 받아야 한다.
3030
3131== 권한 남용 ==
32 * 관리자는 타 관리자의 권한 남용 등이 일어났을 시, 해당 사용자의 권한을 회수할 수 있다.
33 * 아래에 내용 중 하나라도 해당되는 경우, 소유자는 관리자의 권한을 회수 및 영구 차단/소명 거부 처리할 수 있다.
32 * 운영진는 타 운영진의 권한 남용 등이 일어났을 시, 해당 사용자의 권한을 회수할 수 있다.
33 * 아래에 내용 중 하나라도 해당되는 경우, 소유자는 운영진의 권한을 회수 및 영구 차단/소명 거부 처리할 수 있다.
3434 * 규정을 위반하지 않은 사용자를 재제하는 경우
3535 * 영구 차단자를 차단 해제하는 경우
3636 * 운영 회의 없이 일반 사용자[* 자신의 부계정 제외]에게 권한을 부여하는 경우
37 * 아래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에 'ACLGroup:일반 관리자' 또는 'ACLGroup:최고 관리자'에 등록하는 경우
37 * 아래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에 'ACLGroup:일반 운영진' 또는 'ACLGroup:최고 운영진'에 등록하는 경우
3838 * 자신의 부계정을 등록하는 경우
39 * 권한 남용 등으로 인해 등록이 해제된 관리자를 재등록하는 경우
40 * 선출된 관리자를 등록하는 경우
39 * 권한 남용 등으로 인해 등록이 해제된 운영진를 재등록하는 경우
40 * 선출된 운영진를 등록하는 경우
4141 * 기타 소유자가 권한 남용으로 판단하는 경우
4242
4343== 운영 방해 ==
4444 * 엔진 또는 위키의 허점을 이용한 사용자는 영구 차단 및 소명 거부 처리한다.
4545
46== 전직 관리자 특례 ==
47 * 전직 관리자관리자 3인 이상과 소유자의 동의가 있을 시 임명 절차를 생략하고 관리자로 임명한다.
48 * 이 때 전직 관리자는 탄핵이나 권한을 회수 당한 관리자를 제외한 사퇴한 관리자를 의미합니다.
46== 전직 운영진 특례 ==
47 * 전직 운영진운영진 3인 이상과 소유자의 동의가 있을 시 임명 절차를 생략하고 운영진로 임명한다.
48 * 이 때 전직 운영진는 탄핵이나 권한을 회수 당한 운영진를 제외한 사퇴한 운영진를 의미합니다.
4949
5050== 면책 조항 ==
51 * 관리자는 운영 회의를 통해 일반 사용자에게 일시적으로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.
51 * 운영진는 운영 회의를 통해 일반 사용자에게 일시적으로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