... | ... | |
---|
10 | 10 | * 차단은 사용자를 aclgroup:차단에 등록하는 것을 의미한다. |
---|
11 | 11 | |
---|
12 | 12 | == 임시 조항 == |
---|
13 | | * 운영진는 운영진의 재량에 따라 일반 사용자를 차단할 수 있다. |
---|
| 13 | * 운영진은 재량에 따라 일반 사용자를 차단할 수 있다. |
---|
14 | 14 | * 단, 규정이 정해져 있을 경우, 해당 규정을 우선한다. |
---|
15 | | * 이 때, 운영진는 차단 사유에 정당한 사유[* 운영 방해, 편집권 남용, 관련 게시판 링크 등]를 제시해야 한다. |
---|
| 15 | * 이 때, 운영진은 차단 사유에 정당한 사유[* 운영 방해, 편집권 남용, 관련 게시판 링크 등]를 제시해야 한다. |
---|
16 | 16 | |
---|
17 | 17 | == 개인 정보 == |
---|
18 | | * 본인 또는 타인의 개인 정보를 유출하는 경우, 1년 이하로 차단할 수 있다. |
---|
| 18 | * 본인 또는 타인의 개인 정보를 유출하는 경우, 1개월 이하로 차단할 수 있다. |
---|
19 | 19 | * 상황에 따라 리버전 숨김, 반달 처리, 편집요약 숨김, 휴지통화, 댓글 숨김 처리 등을 할 수 있다. |
---|
20 | 20 | * 이 때 해당 개인 정보가 사실인지 아닌지는 재제에 수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. |
---|
21 | 21 | * 단, 아래의 경우는 예외로 한다. |
---|
22 | 22 | * 홍길동이나 철수, 영희 등의 견본용 이름의 경우 |
---|
23 | 23 | * '난 경기도 안양의 이준영이다' 등과 같은 밈의 경우 |
---|
24 | | * 이미 본인이 개인 정보를 외부/내부에서 공개한 경우 |
---|
| 24 | * 이미 본인이 개인 정보를 외부 / 내부에서 공개한 경우 |
---|
25 | 25 | |
---|
26 | 26 | == 긴급 차단 == |
---|
27 | | * 운영진는 대규모 반달, 운영진의 권한 남용 등이 일어났을 시, 해당 사용자를 영구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. |
---|
| 27 | * 운영진은 대규모 반달, 운영진의 권한 남용 등이 일어났을 시, 해당 사용자를 영구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. |
---|
28 | 28 | * 긴급 차단 후, 해당 사용자의 재제 수위는 관련 규정 또는 운영 회의를 통해 결정한다. |
---|
29 | 29 | * 긴급 차단 후, 운영진는 운영 회의를 통해 긴급 차단 사실을 타 운영진 및 소유자에게 알리고, 소유자에게 허가를 받아야 한다. |
---|
30 | 30 | |
---|
31 | 31 | == 권한 남용 == |
---|
32 | | * 운영진는 타 운영진의 권한 남용 등이 일어났을 시, 해당 사용자의 권한을 회수할 수 있다. |
---|
33 | | * 아래에 내용 중 하나라도 해당되는 경우, 소유자는 운영진의 권한을 회수 및 영구 차단/소명 거부 처리할 수 있다. |
---|
34 | | * 규정을 위반하지 않은 사용자를 재제하는 경우 |
---|
35 | | * 영구 차단자를 차단 해제하는 경우 |
---|
36 | 36 | * 운영 회의 없이 일반 사용자[* 자신의 부계정 제외]에게 권한을 부여하는 경우 |
---|
37 | 37 | * 아래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에 'ACLGroup:일반 운영진' 또는 'ACLGroup:최고 운영진'에 등록하는 경우 |
---|
| 32 | * 최고 관리자는 타 운영진의 권한 남용 등이 일어났을 시, 해당 사용자의 권한을 회수할 수 있다. |
---|
| 33 | * 아래에 내용 중 하나라도 해당되는 경우, 소유자는 운영진의 권한을 회수하고 영구 차단 / 소명 거부 처리할 수 있다. |
---|
| 34 | * 규정을 위반하지 않은 사용자를 제재하는 경우 |
---|
| 35 | * 영구 차단자의 차단을 정당한 사유 없이 해제하는 경우 |
---|
38 | 38 | * 자신의 부계정을 등록하는 경우 |
---|
39 | 39 | * 권한 남용 등으로 인해 등록이 해제된 운영진를 재등록하는 경우 |
---|
40 | 40 | * 선출된 운영진를 등록하는 경우 |
---|
| 41 | * 검사관이 타인의 로그인 기록을 정당한 사유 없이 조회하는 경우 |
---|
41 | 42 | * 기타 소유자가 권한 남용으로 판단하는 경우 |
---|
42 | 43 | |
---|
43 | 44 | == 운영 방해 == |
---|
44 | 45 | * 엔진 또는 위키의 허점을 이용한 사용자는 영구 차단 및 소명 거부 처리한다. |
---|
45 | 46 | |
---|
46 | 47 | == 전직 운영진 특례 == |
---|
47 | | * 전직 운영진는 운영진 3인 이상과 소유자의 동의가 있을 시 임명 절차를 생략하고 운영진로 임명한다. |
---|
48 | | * 이 때 전직 운영진는 탄핵이나 권한을 회수 당한 운영진를 제외한 사퇴한 운영진를 의미합니다. |
---|
| 48 | * 전직 운영진은 운영진 3인 이상과 소유자의 동의가 있을 시 임명 절차를 생략하고 운영진으로 임명할 수 있다. |
---|
| 49 | * 이 때 전직 운영진은 탄핵이나 권한을 회수 당한 운영진을 제외한 자진 사퇴한 운영진을 의미한다. |
---|
49 | 50 | |
---|
50 | 51 | == 면책 조항 == |
---|
51 | | * 운영진는 운영 회의를 통해 일반 사용자에게 일시적으로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. |
---|
|
| 52 | * 운영진은 운영 회의를 통해 일반 사용자에게 일시적으로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. |
---|
| 53 | * 소유자는 규정에 서술되지 않더라도 필요하다고 판단할 경우 자의적으로 권한을 사용할 수 있다. |
---|